국내 연구팀이 문맹일수록 치매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는 이미 61만 명을 넘어 2025년에는 100만, 2043년에는 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 추세대로라면 30년 뒤에는 다섯 집마다 한명씩 치매 환자가 나타나는 셈인데, 치매는 더 이상 환자 개인과 환자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과거 여러 국내외 연구도 치매환자의 3대 특징으로 저학력, 문맹, 고령을 꼽고 있고, 문해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기억력 및 인지 능력이 높다는 사실 또한 입증한 바 있다. 최근 서울의대 김기웅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팀이 치매 발생에 미치는 문맹의 기여위험성에 대해 살펴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 ▲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
김 교수팀은 치매 환자 중 문맹의 기여위험분율(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PAF)을 평가해 문맹 퇴치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치매 예방 및 치매 비용 경감 효과를 추정한 연구를 했다. 연구 결과 2015년을 기준으로 국내 전체 치매 환자 발생의 16%가 문맹에서 기인하고 있으며, 65세 미만 연령층에서 문맹을 퇴치하면 2050년까지 치매 환자는 1.62%로 감소하고 치매관리비용은 약 60조원이 절감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맹률이 높은 라틴아메리카, 중동 및 서남아시아와 아프리카는 문맹으로 인한 치매 발생 위험이 5~70%로,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저학력 등에 의한 치매 발생 위험이 3~20%인데 비해 훨씬 높았다. 문맹 퇴치가 치매 환자 감소에 가장 효율적인 전략임을 입증했다. 또한, 이들 지역에서 65세 미만 연령층의 문맹율을 절반으로 줄이면, 2050년까지 각각 약 82~283조원, 15~109조원, 20~91조원의 치매관리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기웅 교수는 "치매 치료제의 효과가 아직은 보존적인 수준이어서 치료 못지않게 발병 자체를 억제하는 예방 전력이 치매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며 "문맹의 기여위험율과 문맹 퇴치 시 기대할 수 있는 치매관리비용 절감 효과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문맹자에 대한 구체적인 문자 교육 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증가하는 치매 환자와 가족, 사회적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과 치매 인식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치매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치매 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최근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발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