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첫 증상 뒤 평균 12년 살아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조회수 : 2,195본문
국내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첫 증상 뒤 평균 12년 살아
진단·치료 이를수록 호전 가능성 커
우리나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는 첫 증상이 나타난 뒤 평균 12.6년을 생존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 분석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표적 노인성 치매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에 과다하게 쌓인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대뇌 신경세포를 죽이는 과정에서 걸리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해관(예방의학과)·나덕렬(신경과) 교수팀은 1995년부터 2005년 사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진단받은 환자 724명(평균나이 68.5살)의 평균 생존기간을 추적 관찰한 결과, 첫 증상이 나타난 뒤 평균 12.6년을, 첫 진단 뒤 평균 9.3년을 생존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때 첫 증상이 나타난 시점은 보호자들이 환자의 치매 증상을 인식한 시점을 말한다.
논문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첫 증상이 나타난 뒤 생존기간은 최소 11.7년에서 최장 13.4년으로 편차가 1.7년이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첫 증상으로는 전화번호나 사람 이름을 잊어버리는 등의 기억장애와 말하기·읽기·쓰기 등에 문제가 생기는 언어장애, 방향감각이 떨어지는 시공간능력 저하 등이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나타난 뒤 병원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진단받기까지는 평균 3년3개월이나 걸렸다. 첫 진단이 이뤄진 뒤에는 생존기간이 평균 9.3년으로 크게 줄었다.
치매 환자의 생존기간을 단축시키는 위험 요인으로는 당뇨병 병력, 낮은 인지기능 저하점수, 높은 임상 치매점수 등이 지목됐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진단과 치료가 이르면 이를수록 뇌기능의 퇴화를 지연 또는 중단시켜 호전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 보호자 입장에서는 환자의 치료 스케줄이나 의료비 지출 등의 계획을 빨리 잡을 수 있으며, 환자 측면에서도 판단력이 온전할 때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치매 진단이 이를수록 치료 비용이 줄어든다는 분석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나덕렬 교수는 “어떤 보호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면 오히려 환자를 돌봐야 하는 시간이 길어질 것이라 생각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피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히려 조기진단을 통해 악화될 수 있는 모든 위험요인을 제거하면 환자와 보호자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요한 일을 자주 잊는다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장애가 심해지는 경우, 주변 사람들은 기억장애가 있다고 말하는데 자신의 기억장애를 모르는 경우에는 조속히 병원에 와서 뇌영상 검사, 인지기능 검사, 혈액 검사를 실시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양선아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579629.html#csidx9a4cb3c80b02eb5ae944e4e97f6e099 ;